2024. [이 아파트에서 지우가 무엇에 귀 기울이는가] 기억을 쌓는 사람_기획/글. 정희윤 |
기억을 쌓는 사람 (2024) 글. 정희윤 서지우는 자신이 발 딛어온 장소들을 세심하게 들여다보고 그곳에 담긴 이야기에 관심을 기울인다. 주로 도시 건축물의 골조와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조각을 쌓아 올리며 최근에는 작업 방식과 매체를 다양하게 확장해 나가고 있다. 첫 번째 개인전《이 마을에 사는 지우가 무엇에 귀 기울이는가》에서 작가가 살고 있는 지역의 구조물을 탐구한 결과물을 조각으로 표현했다면, 이번 개인전에서는 IMF 서울이 위치한 도봉구 쌍문동을 저벅저벅 거닐며 마주한 아파트 단지의 풍경과 동네에 깃들어 있는 흔적을 조각, 사진, 드로잉으로 옮겨낸다. 그는 지독한 관찰자이다. 그래서 줍는다. '파밍(Farming)'이 온라인 게임에서 필요한 자원이나 아이템을 얻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수집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처럼, 작가는 주변을 관찰하고 그곳의 흔적들을 찾아내기 위하여 끊임없이 '파밍' 한다. 짙은 노스텔지어를 자아내는 90년대생 아파트를 카메라로 포착하거나 꾸깃꾸깃 구겨진 상태로 돌담 사이에 끼워진 오래된 신문지를 끄집어내 외투 주머니에 넣는다. 그가 주목하는 것은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가 아니라, 장소가 품고 있는 역사와 그곳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흔적이다. 마치 고고학자가 흙 속에서 조각들을 발굴하듯, 서지우는 일상의 사소한 요소들을 채집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그렇게 현장에서 주워 올린 소중한 재료는 시멘트와 함께 반죽하여 시간을 잠시 얼려둔다. 작가는 그것을 하나의 '파츠(parts)'라고 부른다. 사람들이 어떤 공간에 대하여 저마다 다른 기억을 품고 살아가듯이 파츠에는 이렇게 각기 다른 시간과 기억이 담겨 있다. 그리고 그 파츠들을 켜켜이 쌓아 올리면 하나의 조각이 된다. 주어진 도면에 따라 바닥에서부터 각재를 교자하여 목조 주택의 뼈대를 만들던 그가, 이제는 가장 아래에서부터 골조를 단단히 세우고 그 위에 파츠를 쌓아간다. 그렇게 땅에 떨어져 있던 기억의 파편들을 주워 자근자근 축적해 나가면 아파트 하나가 뚝딱 만들어지고, 그것들을 한데 모으면 거대한 아파트 단지가 된다. 조각들은 전시장 방 한 켠을 빼곡하게 재운 상태로 또 다른 누군가의 주변을 부유하고 있는 추억들이 그 위에 차분히 내려앉아 한 층 덧대어 지기를 기다린다. 서지우는 그 앞에 가만히 서서 서울로 상경해 지내온 날들을 떠올린다. 사회 초년생이 아무런 연고도 없는 서울 땅에 정작해 보겠다고 적당한 가격의 반지하 월세방을 찾아 배회했던 기억. 어쩌면 그 기억의 모서리에는 아파트 도면이 무수하게 늘어져 붙어있는 부동산 한쪽 벽면이 남아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그것은 목수였던 과거의 정체성과 얽혀서, 그에게 건축물의 뼈대와 다름없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서로 교차하고 중첩되는 드로잉을 그려낸다. 그리하여 작가는 쌍문동을 둘러싼 여러 세대의 자취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계속해서 줍고 포개고 다시 조립하고 배열한다. 이렇게 쌓아 올린 기억들은 다른 곳으로 새어 나가지 못하도록 작업 안에 꽉 붙들어 놓는다. |
ZIU ZIU \ Ziu Suh
Research Archive Texts Press
→ BIO / CONTACT
→ AELIER
© 2022 - 2025 Ziu Suh, website by ZIUSUH♡